지역경제 모니터링을 위한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 개발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of Vitality Index for Regional Economy Monitoring)표지

기본 지역경제 모니터링을 위한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 개발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of Vitality Index for Regional Economy Monitoring)

초록

□ 기존의 경제지표는 공간적 관점에서 지역경제의 특성이나 변화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단위로 지역경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지표 개발
- 소지역 단위 측정이 어려웠던 ‘소비’ 영역에 대한 새로운 지표를 발굴 하고, 최근 구축되고 있는 가명정보통계, 위성영상, 민간 빅데이터 등을 도입·활용
□ 지역활력지수는 지역의 생산과 소비활동을 중심으로 지역경제의 상태와 변화상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인구와 소비, 생산과 관련된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
□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활력지수 지표체계를 적용한 지역경제 활력도를 시군구 및 읍면동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인구’, ‘소비’, ‘생산’ 등 부문별 활력도 및 이를 종합한 지역활력도 분석
- 시군구와 읍면동 단위 모두 지역활력지수가 높은 지역은 경기도로 나타났으나, 읍면동 단위 분석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활력지역(신도시의 아파트 밀집지역 등)이 나타남
□ 전국의 지역활력도 측정결과를 누구나 탐색·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활력지수 분석결과를 웹기반 ’KRIHS 인터랙티브 리포트’ 콘텐츠로 구축하여 공개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경제 모니터링과 지역활력지수 개발 의의
제3장 국내외 사례분석
제4장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 개발 방법
제5장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 개발 및 분석
제6장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의 정책적 활용방안
제7장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SUMMARY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