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수요에 대응한 국유재산 토지비축 연구 (Research on State Property Land Banking in Response to Future Demand)표지

기본 미래 수요에 대응한 국유재산 토지비축 연구 (Research on State Property Land Banking in Response to Future Demand)

초록

□ 미래 국토 여건변화에 대비하여 기획재정부가 총괄 관리하는 국유재산의 중·장기 토지수요 대응 수단으로서 국유재산 토지비축 제도 정책방향 제시
□ 초기에는 매입·사용의 시차조정 기능 부진, 최근에는 사용 규모 감소에 따른 보유 증가
- (역할) 장기적 관점이 부족하여, 국유재산관리기금 중 중장기 수요 대응 비축 예산비중이 적고, 공익목적의 폭넓은 활용이 어려우며, 토지시장 가격 변동성 대응 부족
- (입지·시간) 수요-공급 미스매치로 장기미활용 지역과 물량부족 지역 상존, 지역·주체·용도에 따른 입지평가기준 부족, 진정한 의미의 장기 수요 파악보다 절차상 장기 소요
- (활용성) 매입·사용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공익목적이나 임시 사용을 촉진하기보다 소극적 보유 중심이며, 토지매입방식의 한계로 미분양 토지 중심 매입 및 활용도 저하
□ 해외 선진국은 국유재산을 통해 저렴하고 질 좋은 공공주택·공무원 관사, 창의적 인재를 위한 혁신업무·기술 대응 공간, 행·재정적 수요 대응 추진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국유재산 토지비축의 정의와 필요성
제3장 국유재산 토지비축 현황분석 및 문제점
제4장 미래 수요 대응을 위한 국유재산의 역할
제5장 국유재산 토지비축 정책방향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