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자율주행차 도입이 국토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자이백진 연구위원
  • 게시일2018-09-21
  • 조회수302
1635EA3584DB4AC79B26C1FE3769F079.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첨단인프라 기술발전과 국토교통분야의 과제-자율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2016)
    • I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모빌리티 분석 및 정책 활용방안(2015)
    •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II)(2014)
    •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I) (2013)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자율주행차가 미래 우리의 일상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예측해보는 다수의 국내외 연구들이 있으나 주로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영향을 개괄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백진 연구위원이 수행한 「자율주행차 도입이 국토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포괄적인 측면에서 장래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이백진: 자율주행차, 초고속열차 등과 같은 혁신적인 교통수단들이 도입되면서 우리의 생활공간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통기술 발달은 장기적으로 국토공간의 이용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본 연구는 장래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영향을 보다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장래 자율주행차 도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토 및 교통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백진: 국내외에서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일부 수행되었지만, 종합적으로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 도입 시나리오 설정, 시나리오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 효과 분석, 자율주행차 이용 의사와 시간가치 변화, 우리의 일상활동의 변화 등을 순차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입니다. 분석에 있어 많은 전제조건들이 가정되었지만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전무하여 매우 선도적인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이백진: 자율주행차 영향분석을 위해 유럽의 벨기에 하셀트 대학과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대학은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Activity-based Model)으로 매우 유명합니다.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연구방식과 진행 속도에 비해 유럽 대학의 연구방식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많은 애로점이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잘 마무리 되었지만 직접 하셀트 대학에서 다양한 연구방법상의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점을 찾았던 것이 새로웠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이백진: 본 연구는 아직 우리가 가보지 못한 미래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서 어쩔 수 없는 가정을 하게 되고,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분석해야 합니다. 사실 일 년의 짧은 연구기간으로 실증분석을 완성하고자 했던 저의 욕심으로 연구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깊이와 논의가 많이 부족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계기로 국내에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 바라는 마음입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이백진: 미래 교통기술은 현재 전(全) 교통 분야에서 많은 혁신과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기술개발에 편중된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하면서도 사람의 행태에 집중하였지만, 앞으로도 보다 다양한 교통기술 변화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수용할 것인지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싶습니다.

이백진 연구위원은 2003년 일본 히로시마대학교에서 공학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첨단인프라센터의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네덜란드 아인트호벤(Eindhoven)공과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첨단교통시스템(ITS), 교통모델링(Transport Modeling), 한반도 연구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첨단인프라 기술발전과 국토교통분야의 과제-자율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2016), I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모빌리티 분석 및 정책 활용방안(2015),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2013∼2014)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