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정책 Brief 800호 이치주 부연구위원
코로나19의 영향과 중장기 건설산업 발전방향
① (공정건설문화 정착) 불공정거래 방지와 건설생산체계 개편은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건설인력 확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내용 보기
② (민간투자사업 확대) 중소규모 만간투자사업 확대를 통한 중소건설기업의 참여기회 확대
③ (투자개발형 해외진출 확대) 중소건설기업의 전문성을 보완할 수 있는 사업타당성분석, 법률, 금융, 각 나라의 현황 조사 지원방안 마련
④ (건설기술 개발) 건축물 건설 분야에서는 깊은 지하층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월간국토 1월호 471호
특집 l 국가균형발전의 발자취와 발전적 전개
국토시론 : "균형발전정책 반세기, 경험에서 배우자"
내용 보기
- 강현수 국토연구원장
KRIHS가만난 사람 : “청년과 지방을 살리려면 베이비부머가 변화해야 합니다"
- 마강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ㆍ부동산학과 교수
2020 어반 오디세이(URBAN ODYSSEY) <13> :
주민들을 위한 도시의 사랑방: 서천 ‘봄의 마을'
우리 동네 도시재생 이야기 <32> :
지역혁신 창업가들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임팩트 ‘로컬라이즈 군산’ -
부동산시장조사분석 VOL.31
인포그래픽스 :
내용 보기
- K-REMAP 지수로 바라본 부동산시장
- K-REMAP 지수로 바라본 우리동네 부동산시장:
경기 성남, 하남, 광주
- 하반기 부동산시장 영향 요인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
-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 부동산시장 압력지수
- K-REMAP지수(부동산시장 종합지수)
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통계 -
국토이슈리포트 31호한국의 비대면 산업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 (3)
① 지속가능한 비대면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
내용 보기
② 개인정보 등 분석기술 진화에 따른 데이터 보안 기술 강화 필요
③ 안정적인 정부 재원 및 추진력 확보와 비대면 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적절한 산업표준지침 마련이 필요 -
워킹페이퍼 WP 20-26 박대한 연구원
GIS를 활용한 역세권 개발 여건 분석
■ 대전역 역세권은 도시 평균보다 낮은 실현용적률로 역세권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
내용 보기
- 비교적 잘 정비된 기반시설과 신도심 대비 1/3 수준의 공시지가로 사업성 확보는 용이한 편이며 과거부터 집약된 산업기능으로 대전시 내에서도 경제적 파급력이 높음
■ 대전역 역세권은 물리적 쇠퇴가 심각함에도 기반시설 정비가 비교적 양호하며, 상업지역이 집중됨에도 저밀도 토지이용으로 도시밀도 관리 측면의 이점이 높음
- 고속철도역의 잠재적 파급력 극대화를 위한 대중교통, 보행 중심의 고밀도 복합개발이 민간참여 형태로 이루어질 필요
공지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연구기관 법무・노무・회계 고문 위촉 공고문 2021.01.18
-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제5호 발간 2021.01.15
-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4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2021.01.14
- 21년 국민참여예산 집중접수 개시 알림 2021.01.11
- 국토연구원 온택트(on:tact) 시무식 개최 2021.01.06
-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사업 아이디어 공모 공고 2021.01.05
- 제2회 영상공모전「국토스토리」수상작 발표 2020.12.30
- 국토연구원 온택트(on:tact) 맺음날 개최 2020.12.30
- 국토연구원 언택트 사랑나눔 바자회 개최 2020.12.24
- 제1회 국토TV 「청년 크리에이터」 합격자 발표 202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