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40115092906645.JPG

도시 AI(Urban AI)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시 AI(Urban AI)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이세원 부연구위원, 유재성 부연구위원, 이기훈 연구원, 정예진 연구원



 도시에 AI 기술을 도입하는 ‘도시 AI’의 전망과 변화를 진단하고, 최근 새롭게 등장한 ‘Urban AI’의 개념과 분야별 최신 사례를 조사해 향후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안


 (개념 정립) 광의의 Urban AI는 도시와 AI 기술이 혼합(Hybridity)된 ‘AI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행위이며, 협의의 Urban AI는 도시에서 AI 기술 도입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시도하는 행위(정책·사업·서비스)를 포괄


 (정책 대응) AI가 주도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국가들은 ‘국가 AI 전략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최근에는 도시(지자체) 주도의 ‘도시 AI 전략계획’을 수립하여 도시와 AI를 함께 고려한 행정계획을 수립하여 기존 계획과 차별화·구체화를 시도


 (정책과제 발굴) 선행 정책과 서비스 사례 조사, 전문가 세미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지자체)가 공공행정에 AI 기반 인프라와 활용 서비스 도입 시 우선해야 할 정책과제를 발굴



정책방안


   공공부문에서 도시 AI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관련 부서와 산하 기관의 역할과 수요를 발굴하고, AI 학습을 위한 ‘도시 데이터 생산체계와 인프라 구축’ 우선 시행

   - (도시 데이터) 도시를 구성하는 건축·토지·도로·환경 등 분야별 공공데이터 전략(품질관리 및 표준화)을 통해 ‘머신이 읽을 수 있는 데이터(Machine Readable Data)’ 생산체계로 전환

   - (AI 인프라) 공공수요에 따라 단계별 ‘AI 플랫폼 구축 및 활용 전략(로드맵)’을 마련하고, AI 플랫폼 기술 개발 및 구축, 서비스 실증사업 등의 검증을 거쳐 ‘도시 AI 센터’ 설치


   캐나다 AI 슈퍼 클러스터(Scale AI), 런던 테크 네이션(Tech Nation) 등과 같이 ‘AI 연구개발인재 유입-스타트 업’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AI 생태계 육성 필요


   AI의 혁신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 안전과 인권, 신뢰성 등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 하며, 중앙 및 지자체에 AI 총괄기관, 전담 실행기관, 윤리협의체, 연구개발 센터 등으로 구성된 ‘도시 AI 거버넌스’ 마련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정책Brief 949호.pdf (265.94KB / 다운로드:763)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홍보팀
  • 성명 한여정
  • 연락처 044-960-0439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