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취약지역의 전염병 영향 실태분석 및 정책방안 (Suffering of Vulnerable Residential Areas by Epidemics and Corresponding Policy Measures)표지

기본 주거취약지역의 전염병 영향 실태분석 및 정책방안 (Suffering of Vulnerable Residential Areas by Epidemics and Corresponding Policy Measures)

초록

- 전염병 확산이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열악한 주거취약지역에 미친 영향을 조사·분석하고, 전염병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방향 및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전염병의 감염·확산뿐만 아니라 대응조치에 따른 일상의 영향 측면도 감안하여 전염병 취약성을 역학적 취약성, 확산 취약성 및 적응 취약성이 연계·종합된 개념으로 정립
- 취약지역·취약계층 지원사업 현황조사 결과 주로 공급자 중심의 계층 지원이 분절적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복지적 접근 부족, 지원 사각지대 및 체감이 큰 서비스 공백이 발생
- 주거취약지역 중 선정한 사례지역의 활동가 및 주민 대상의 실태조사 결과, 생계 유지의 어려움이 가장 컸고, 그 외 소외되는 아동돌봄, 사회적 교류의 감소와 고독감·우울감 증가, 낮은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건강 악화 등이 전염병 확산의 주요 영향이었으며, 공공서비스의 공백과 주민공동이용시설 폐쇄가 부정적인 영향을 심화시키고 있었음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전염병과 주거취약지역에 대한 논의
제3장 취약지역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관련정책 현황
제4장 주거취약지역의 전염병 취약성 실태조사
제5장 주거취약지역의 전염병 취약성 개선방안
제6장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