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방역정책 지원을 위한 코로나19 발생의 시공간 패턴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s of COVID-19 Cases To Better Inform Public Responses to Infectious Diseases)표지

수시 스마트 방역정책 지원을 위한 코로나19 발생의 시공간 패턴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s of COVID-19 Cases To Better Inform Public Responses to Infectious Diseases)

초록

- 국내 코로나19 발생 모니터링(이하 ‘코로나19 모니터링’)은 지금까지 시도 및 시군구 단위로 이루어져 지자체 및 주민이 지역 내 감염병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
- 방역의 주요 주체인 지자체와 주민이 지역 생활공간 내 감염병 위험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방역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려면 보다 세밀한 공간 단위의 감염병 발생 모니터링 필요
- 시군구보다 작은 소지역 단위의 코로나19 정밀 모니터링이 방역정책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실증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의 확진자 데이터를 읍면동 단위로 가공하여 시공간 패턴 분석
- 분석 결과 읍면동 등 소지역 단위 모니터링은 지자체 내부의 고위험 지역 식별, 감염병 취약계층별 고위험 지역 타겟팅, 감염 확산 우려 지역 조기 파악, 광역 및 협력적 방역 대응 필요 지역 파악, 감염병에 취약한 지역 특성 진단 등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남
- 소지역 단위 코로나19 정밀 모니터링은 고위험 지역 중심의 방역정책과 더불어 감염병 위험에 관한 주민 소통도 지원할 수 있으므로, 이의 도입방안에 대한 본격적 정책 검토 필요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코로나19 발생 모니터링의 현황과 한계
제3장 코로나19 지역감염 정밀 모니터링을 위한 읍면동별 발생패턴 분석
제4장 코로나19 발생 영향인자 파악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
제5장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