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 온실가스 산정이 6대 온실가스(CO₂, CH₄, N₂O, HFCs, PFCs, SF₆)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하여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온실가스 감축은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어떻게 줄여나갈 것인가에 대한 노력으로 정의
-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온실가스 산정과 감축은 연동될 수 있고, 각 지표 간 상호보완 가능
2. ‘감축지표’란, 국토·도시 분야 감축지표의 발굴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감축지표의 보완뿐만 아니라 산정지표의 보완역할에도 도움
3.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선정방향
- 국토·도시 관련 계획에서 감축수단으로 논의되었으나, 온실가스 감축 관련 계획에서는 감축수단으로서 일부만 반영 또는 포함되지 않은 감축수단을 우선 도출하고,
- 해당 수단을 대상으로 평가 가능한 지표로의 전환 가능성,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 정도, 지자체 차원에서의 자료 구득 용이성, 관련 법·제도의 구비된 정도를 검토한 다음,
- 지자체 감축 관련 계획에서 감축량을 산정하거나, 이행과정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최종적인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안) 제시
-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온실가스 산정과 감축은 연동될 수 있고, 각 지표 간 상호보완 가능
2. ‘감축지표’란, 국토·도시 분야 감축지표의 발굴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감축지표의 보완뿐만 아니라 산정지표의 보완역할에도 도움
3.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선정방향
- 국토·도시 관련 계획에서 감축수단으로 논의되었으나, 온실가스 감축 관련 계획에서는 감축수단으로서 일부만 반영 또는 포함되지 않은 감축수단을 우선 도출하고,
- 해당 수단을 대상으로 평가 가능한 지표로의 전환 가능성,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 정도, 지자체 차원에서의 자료 구득 용이성, 관련 법·제도의 구비된 정도를 검토한 다음,
- 지자체 감축 관련 계획에서 감축량을 산정하거나, 이행과정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최종적인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안) 제시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의 필요성
제3장 국내외 국토·도시 분야 감축수단 및 지표 사례 분석
제4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선정
제5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활용 방향 및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의 필요성
제3장 국내외 국토·도시 분야 감축수단 및 지표 사례 분석
제4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선정
제5장 국토·도시 분야 온실가스 감축지표 활용 방향 및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기획경영본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이메일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