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 오픈 데이터(Linked Open Data)

  Pentland(2013, 80)는 현대사회가 모바일, 소셜미디어, IoT 등을 통해 수많은 정보들을 끊임없이 생산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에는 사람들의 수요, 행위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Digital Bread Crumbs)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다양하고, 빠르게 생산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라고 하며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등의 신기술과 융합하여 산업, 경제, 사회의 경계를 허물고 신질서로 재편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의 변화와 혁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활용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때 데이터 개방 정책과 더불어 사용하기 쉽고 편한 형태의 데이터 제공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로 링크드 오픈 데이터(Linked Open Data, 이하 LOD)가 있다.
  LOD는 개방된 데이터를 상호 연결하고 의미론적 추론을 통해 좀 더 활용성이 높게 구조화된 데이터이다(위키피디아).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한 팀 버나스리(Tim Berners-Lee)는 데이터 개방 형식을 5가지 단계로 제시하였는데 이 중 활용성이 가장 높은 데이터 구조로 LOD를 제시하였다(5stardata). LOD는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데이터 4원칙①( 식별자로 URI 사용, ② HTTP URI 사용, ③ RDF 및 SPARQL 표준 사용, ④ 다른 URI와 연계)에 따라 구조화하고 연계하여 데이터 주도 사회의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지능적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이다(임용호, 강민조 2016, 21). LOD는 데이터 신뢰도와 활용 확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계에 의한 의미 파악(Machine Readable)이 가능하기 때문에 머신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자연어 처리를 통한 음성인식이나 번역 등에 활용성이 높다.

 

임용호│국토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4971&lsId=&chrClsCd=010202&urlMode=lsInfoP#0000 (2018년 1월31일 검색).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 (2018년 1월 31일 검색).
임용호, 강민조. 2016. 데이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Alex Sandy Pentland. 2013. The Data-Driven Society. Scientific American 309, no.4: 78-83.
Tim Berners-Lee. 2006. Linked Data. https://www.w3.org/DesignIssues/LinkedData.html (2018년 1월 31일 검색).
5stardata. http://5stardata.info/en/ (2018년 1월 31일 검색).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