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T(Bus Rapid Transit)

  BRT는 Bus Rapid Transit의 약자로 간선급행버스 또는 간선급행버스체계라고 한다. BRT 편람에서는 기존 버스체계에 철도운영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으로서, 주요 기반시설과 운영시스템(버스통행권, 교차로 신호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운영서비스 등)을 갖추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지하철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킨 저비용, 고효율의 대중교통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 설계지침에서는 버스전용차로, 편리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통행권 및 그 밖의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BRT 기반시설 설치형식에 따라 신교통형과 일반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강민석│국토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강정규, 박재범, 이승준, 이은경, 최윤혁, 천정수, 강태욱. 2005. BRT편람. 과천: 건설교통부, 대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국토교통부. http://www.molit.go.kr/
______. 2006.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
고윤승. 2016. 크라우드 펀딩 운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e-Business Application 17, no.4: 3-19.
김세용. 2016. 젠트리피케이션, 풀고 가야 할 숙제. 도시문제 51권 576호: 17-18.
김영국, 우은주, 이정기. 2017. 제주 투어리스트피케이션(Touristification) 현상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은행.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171/view.do?nttId=233922&menuNo=200644 (2019년 6월 26일 검색).
김영도. 2012. 크라우드 펀딩 관련 규율체계의 마련 및 향후 과제. 금주의 논단 21권 42호: 3-7. 서울: 한국금융연구원.
모창환, 권영종.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운영체제의 기초연구. 경기: 한국교통연구원.
성희활. 2013.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Crowdfunding)의 규제체계 수립에 대한 연구. 증권법연구 14권 2호: 391-421.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