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요약] 자연기반해법(NbS) 제공을 목적으로 설계된 전략 중 하나인 그린인프라는 ‘그린(Green)’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결합어로, 주로 오픈스페이스, 대기권역, 유역, 산림, 야생 서식처, 공원, 자연지역 등의 형태로 인간과 자연을 연결하고 도시 인프라 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린인프라는 휴식, 탄소흡수, 방재, 그리고 생태백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연기반해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전략 중 하나가 ‘그린인프라’이다(Browder, Ozment and Bescos et al. 2019). 이는 ‘그린(Green)’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결합어로, 1999년 5월 미국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 보고서(President’s Council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그린인프라는 ‘생명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증진하도록 다양한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스페이스, 대기권역, 유역, 산림, 야생 서식처, 공원, 지역지역 등의 네트워크’로 정의되었으며,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5대 실천전략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커뮤니티가 그린인프라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따른 편익을 얻기 위해서는 자연자원과 어메니티를 보존, 보호, 회복하는 접근방식의 채택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그린인프라의 개념은 유럽연합(EU),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등을 포함하여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면서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지만(김용국, 손용훈 2012),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사항은 그린인프라가 인간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을 연결하며, 인프라 간 네트워크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린인프라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 그린인프라는 휴식 및 레저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고, 경관을 제공한다. 두 번째, 그린인프라는 정주지역 내 최대 탄소흡수원으로 작용한다. 해당 서비스는 나무 식재의 탄소흡수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 또한 수행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에 탁월하다. 세 번째, 방재 기능의 수행을 통하여 재난 재해에 대한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 도시 열섬 완화를 위한 옥상 녹화, 홍수 예방을 위한 빗물정원 등이 있다. 마지막 서비스로는 그린인프라가 자연의 치유력을 활용하여 감염병을 예방하는 생태백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박종순 2020).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사람들은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고, 자연환기가 가능한 도시공원과 산림 등의 그린인프라를 찾는 횟수가 많았다. 이는 감염병 확산 위험을 낮추면서도 신체적·사회적 활동과 자연 친화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고, 더 나아가 사람 간 접촉 및 교류 감소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코로나 블루의 완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홍나은|국토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김용국, 손용훈. 2012. 도시계획체계와 연계한 그린인프라 적용 사례연구:영국 그린인프라 계획 및 정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7권, 5호: 69-86.
박종순.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토 그린인프라 정책 방향.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국토 그린인프라 조성과 그린 뉴딜 정책 방향 세미나 자료집: 2-23.
Browder, G., Ozment, S., Bescos, I. R., Gartner, T. and Lange, G. M. 2019. Integrating green and gray. Washington, D.C.: World Bank and World Resources Institute.
Cohen-Shacham, E., Walters, G., Janzen, C. and Maginnis, S. 2016. “Nature-Based Solutions to Address Global Societal Challenges.” Gland, Switzerland: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https://portals.iucn.org/library/sites/library/files/documents/2016-036.pdf (2024년 1월 10일 검색).
IUCN. 2020. Global standard for nature-based solutions. A user-friendly framework for the verification, design and scaling up of NbS.
Seddon, N., Daniels, E., Davis, R., Chausson, A., Harris, R., Hou-Jones, X. and Wicander, S. 2020. Global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ature-based solutions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Global Sustainability 3, e15.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