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생애주기

건축물 생애주기

건축물 생애주기는 건축물의 기획에서부터 설계와 시공, 운영·유지·관리, 해체까지의 전 과정을 말한다. 건축물을 단순히 사용하는 관점에서 사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기획부터 해체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건축물을 바라보는 것이다. 건축물 생애주기의 관리는 건축물의 비용, 환경, 안전 등의 여러 측면에서 중요하다. 건축물 생애주기 관리를 설명하는 개념으로는 생애주기 비용(LCC, Life Cycle Cost), 전 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등이 있다. LCC는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으로 경제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Alshamrani 2022). LCA는 건축물의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지창윤, 홍태훈 정재욱 2015).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이나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사전 검토하여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환경영향의 절감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하며(Laustsen 2008), 건축물의 시공·운영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건축물 전 생애주기에서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 절감 방안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소비량 정보관리 시스템’,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건축물의 생애주기 관점에서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건설기술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건축물의 생애주기 관리에 AI, BIM 등 디지털 건설기술을 활용한다면 건축물 관리의 효율성과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유현지, 이승훈|국토연구원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2021. 스마트건설기술 현장 적용 가이드라인.
_____. 2018.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
손태홍, 이광표. 2019. 미래 건설산업의 디지털 건설기술 활용 전략. 서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지창윤, 홍태훈, 정재욱. 2015. 전과정평가 모델을 이용한 초등학교 건축물 환경영향 평가 및 비교기준 수립.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6권, 3호: 49-58.
Alshamrani, O. S. 2022. Integrated LCA-LCC assessment model of offsite, onsite,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systems.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1, no.5: 2058-2080.
Laustsen, J. 2008. Energy Efficiency Requirements in Building Codes, Energy Efficiency Policies for NewBuilding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The Boston Consulting Group. 2016. Digital i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