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건설기술

디지털 건설기술

디지털 건설기술이란 전통적인 건설기술에 첨단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건설 비용 절감, 공사기간 단축, 현장 안전 제고 등과 이를 통한 건설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공법, 장비, 시스템 등을 의미한다(국토교통부 2021). 디지털 건설기술의 종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D 프린팅, 드론, 가상현실 등이 있으며(The Boston Consulting Group 2016), 건설 생애주기에 따라 디지털 건설기술의 활용 목적과 그 종류 및 활용 방법이 구분된다(손태홍, 이광표 2019). 설계 단계에서는 3D 기반의 통합 설계 모델을 개발하여 설계 오류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3D 기반 설계 모델을 구축하고,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통한 설계 자동화로 설계 오류를 줄임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시공 단계에서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 감축과 안전성 확보가 목적이다. 모듈화와 3D 프린팅을 활용한 현장 조립 및 생산으로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화·AI 기반 건설기계 자율 주행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및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를 활용한 근로자 관리로 건설현장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관리 비용 절감과 시설물 수명 연장이 목적이다.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및 로보틱드론을 활용하여 시설물 점검·진단의 신속성·정확성을 제고하고,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하여 선제적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손태홍, 이광표 2019; 국토교통부 2018). 이러한 디지털 건설기술의 적용 목적은 궁극적으로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있으며, 건설 비용, 환경, 안전 등 여러 측면에서 디지털 건설기술을 활용한 건설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유현지, 이승훈|국토연구원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2021. 스마트건설기술 현장 적용 가이드라인.
_____. 2018.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
손태홍, 이광표. 2019. 미래 건설산업의 디지털 건설기술 활용 전략. 서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지창윤, 홍태훈, 정재욱. 2015. 전과정평가 모델을 이용한 초등학교 건축물 환경영향 평가 및 비교기준 수립.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6권, 3호: 49-58.
Alshamrani, O. S. 2022. Integrated LCA-LCC assessment model of offsite, onsite,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systems.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1, no.5: 2058-2080.
Laustsen, J. 2008. Energy Efficiency Requirements in Building Codes, Energy Efficiency Policies for NewBuilding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The Boston Consulting Group. 2016. Digital i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