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가트렌드(megatrends)

  • 작성일20220104
  • 조회수8625
메가트렌드(megatrends)

  메가트렌드란, 미국의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John Naisbitt)가 1982년 출간한 미래사회 예측서 Megatrends 에서 처음 언급되어 사용되었다.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거대한 시대적 조류’라는 의미로, 다양한 분야에서 단기적으로는 10~20년, 장기적으로는 50~100년을 내다보는 대대적인(mega) 변화 흐름(trend)을 지칭하는 장기적·포괄적인 개념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기후위기에 따른 탄소중립의 국제규범화,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코로나 팬데믹 등이 미래의 메가트렌드로 논의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충격과 지역소멸 위기, 남북관계, 분권화 등 한국 상황에 부합하는 시대적 흐름들이 추가된다.
  ‘메가트렌드’라는 미래의 사회·경제·문화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흐름의 방향을 제대로 읽고 전망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메가트렌드에 따라 우리의 미래사회 지향점이 바뀌고, 현재의 사회·경제 시스템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메가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장기적인 국가·기업·개인 차원의 미래전략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전 세계 약 30개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메가트렌드에 대비한 미래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C/UNU 밀레니엄 프로젝트(American Council for UN University,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미국), 국가미래청(The Strategy Unit: SU, 영국), 미래전략청(Institute for Future Studies, 스웨덴) 등이 메가트렌드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 1990년 후반부터 미래 관련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의진, 임현, 박창현 외(2020)가 「과학기술기본법」에 근거해 5년마다 과학기술예측조사를 발표하고 있으며, 최근 2020년에 5개 분야(디지털·사회·환경·국제정세·안전)에서 12개 미래 트렌드를 제시한 바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20)은 2045년 메가트렌드를 사회·기술·경제·환경·정치 분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메가트렌드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민간 분야 역시 대표적으로 유엔 미래포럼(UN Future Forum)을 포함한 8개의 국외 기관이 있고, 국내에서는 한국미래학회의 설립(1968년 7월)을 시작으로 6개의 학회·연구기관에서 다가오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 및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메가트렌드 예측 기법으로는 국내외 관련 문헌분석, 데이터 분석, 시나리오(scenario) 기법, 이머징 이슈(emerging issues) 분석, SWOT 분석, 트렌드(trends) 분석, 델파이(delphi) 조사법, 연령세대분석 기법(age-cohort analysis), 의사결정 나무 작성법(decision tree method), 텍스트 마이닝 분석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사회 전망 및 기술·전략이 도출된다


이인규|국토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 미래전략 2045.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2000029214&dbt=TRKO&rn= (2021년 12월 9일 검색).
김정호, 김창길, 송미령, 한석호, 장도환. 2010. 농업·농촌 2030/2050 비전과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천식. 2006. 해외의 미래연구 동향. 나라경제 2월호.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cidx=5173(2021년 12월 9일 검색).
정의진, 임현, 박창현, 박노언, 지수영, 문병진. 2020.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정보화진흥원(NIA). 2010. 한국사회의 15대 메가트렌드.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4차 산업혁명 지식서비스. https://4ir.kisti.re.kr/intellectbank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