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설안전 장비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는 IoT·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장비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 안전모나 안전벨트 미착용 시 경보음이 울리거나 건설장비와의 충돌을 사전에 감지하는 등 스마트 안전장비를 통해 건설공사 현장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다. 공공공사는 2019년 4월 ‘공공공사 추락사고 방지에 관한 지침’에 따라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의 도입을 의무화하였다. 2020년 3월 「건설기술 진흥법」 개정을 통해 민간공사에도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를 도입하고, 건설공사에서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운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안전관리원은 2022년부터 민간건설사에 지능형(AI) CCTV, 구조물 붕괴·변위위험 경보장비 등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국토안전관리원 2023). 실제 적용사례를 토대로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의 활용을 위한 제도가 마련될 예정이다.


유현지|국토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국토교통부령 제709호, 2020.3.18. 일부개정.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 2019. 공공공사 추락사고 방지에 관한 지침. 4월 11일 발표.
국토교통부. 2020.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겠습니다. 3월 20일, 보도자료.
국토안전관리원. 2023. ‘23년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 추진계획.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법률 제18469호. 2021.9.24. 제정.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469호. 2021.9.24. 타법개정.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GR제품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uygr.or.kr/ (2023년 2월 2일 검색).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2. 2023 친환경건설자재 정보.
한국환경산업기술원(환경성적표지·저탄소제품) 홈페이지. https://www.greenproduct.go.kr/epd/ (2023년 2월 2일 검색).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