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Open API)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응용프로그램들의 상호 작용 및 자료 공유를 돕는 소프트웨어 매개체다. 개방형 API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개발자들의 접근 및 코딩을 허용하여 자료의 개방과 공유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한 개 이상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매쉬업(mashup)이라는 웹 개발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개방형 API들이 연계·운영되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기반의 지리정보 API와 교통 정체, 도로 작업구간, 날씨 등에 해당하는 API들이 매쉬업되면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우리나라 정부는 최근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및 ‘분쟁조정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공공자료의 개방과 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해오고 있다. 개방형 API는 이러한 정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국토교통부는 ‘2013년 국가지식정보자원 관리 시행계획’을 발표함으로써 표준화된 개방형 API 25종을 개발하여 민간에 개방하도록 하였다.

김광호 |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kwangkim@krihs.re.kr)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