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기반(SDI)

공간정보기반(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은 ‘공간정보인프라’라고도 하며, 1990년대 중반 미국에서 국가공간정보인프라(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라는 개념을 도입하면서 등장하였다. 공간정보를 도로, 항만, 철도, 발전소 등과 같은 사회적 인프라로 인식하는 개념으로 각 국가별, 전문가별로 개념 정의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산업화시대의 고속도로, 정보화시대의 초고속정보통신망이 대표적 하드웨어적 인프라라고 한다면, 지식정보화시대에는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인 국가공간정보가 소프트웨어적 인프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국가공간정보인프라는 전자지도에 지형..건물..도로..지하시설물 등의 국토정보가 표준화되어 맵핑되는 형태로 기반이 구축되어 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