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LID는 강우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의 변화(불투수율 증가에 따른 우수유출량 및 비점오염원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 위험과 수질오염 유발)를 최소화시켜 개발 이전의 상태에 가깝게 만들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1990년대 후반에 미국 PGDER(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에서 전형적인 친환경 우수관리 실천수단인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를 기초로 개념을 확립했으며, 최근 미국 북서부를 중심으로 도시계획 차원에서 배수시스템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세부 적용기준은 지역별로 그 지역의 기후, 지형, 관심사 등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투수면적을 늘리고, 친환경적인 배수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의 오리건주 포틀랜드시(Portland)는 ‘배수 및 수질(Title 17.38: Drainage and Water Quality)’ 규칙 아래에 ‘배수관리 규칙과 규정(Title 17.38.035: Drainage Management Policies and Standards)’, ‘우수관리시설 규정(Title 17.38.040: Stormwater Management Facilities Required)’ 등을 통해 불투수 면적에 따른 우수유출량 제한, 배수관리, 생태수로, 빗물정원, 우수 저류지와 같은 저영향개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우수관리 매뉴얼(stormwater management manual)을 제정하여, 세부적인 지침사항 및 기준을 정해주고 있다. 
워싱턴주 레이시(Lacey)는 지형과 기후의 특성상 도시화에 따른 유출의 변화에 하천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침수와 하천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1999년 ‘무영향개발(Zero Impact Development: ZID)’을 고려한 ‘무영향 배수 배출법(Zero Effect Drainage Discharge Ordinance)’을 제정하였다. 무영향 배수 배출법은 60% 이상의 산림 또는 자연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개발지에서 직접 연결되는 불투수지구(DCIA) 0% 유지 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도로턱이 없는 도로, 도로 폭 축소, 투수성 도로 적극 활용, 자연림을 활용한 우수관리 시스템 적용 등을 통해 무영향개발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5가지의 기본적인 도구를 포함한다. 
. Conservation Design(CD) Technology: 보전대책 촉진 
. Better Site Design(BSD) Technology: 불투수층 표면의 저감과 같은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 촉진 및 장려 
. IMP Technology: 조경기술 등을 개선하여 강우유출수의 흐름을 지연시킴으로써 유출시간을 연장시키는 전략을 구사 
. Smart Growth Technology: 강우유출수를 정화하고 저감하기 위하여 IMP와 접목하여 적용 
. BMP Technology: 환경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오염물질 저감도구와 접목 
(출처 : 월간 국토 2011년 5월호 용어풀이)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