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공간정보(u-GIS)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가 사람, 사물, 공간 속으로 스며들고, 이들이 서로 정보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인간의 활동을 도와주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모두 국토공간을 대상으로 하므로 국토공간 및 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정보기술(GIS)이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 기반기술로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전통적인 공간정보기술은 위치기반서비스(LBS), 텔레매틱스(Telematics) 등 응용 IT 분야로 확대..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에 의해 타 분야의 콘텐츠, 통신망 등과 융복합되면서 u-GIS 공간정보기술로 진화하여 유비쿼터스 공간 구현의 핵심 기술로 성장해가고 있다. 이러한 u-GIS의 주요 역할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맞춤형 공간정보 또는 공간정보 활용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비쿼터스 국토, u-City, 전자정부 2.0 등 발전된 유비쿼터스 삶의 환경을 실현하는 것이다. u-GIS 공간정보는 공간 데이터에 시간 개념 또는 실내외 통합측위 등이 추가된 3, 4차원 시공간 데이터의 관리, 삶의 현장 곳곳의 실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지오센서(GeoSensor) 처리기술 연계, 정보수집 단말의 고정, 이동형 통합연계 기술개발 등 주요 기술개발 현안과제를 안고 있다.(자료: 이충호 외. 2007. u-GIS 공간정보 기술 동향) 
(출처 : 월간 국토 2010년 9월호 용어풀이)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