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합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uman Environment: UNCHE)에서‘인간환경선언’을 한 뒤 국제환경 전문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국제연합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이 설립되었다. 즉, UNEP는 UN 조직 내에 환경과 관련되어 진행되는 모든 활동들을 총괄하는 기구다. 이는 환경분야에 있어 국제협력 촉진을 목표로 하며 현재 케냐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있다. UNEP는 네 단계의 운영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정치단계(Political Level)로 개발도상국들이 환경정책 구상과 이행을 돕고, 정부나 다자간 기구에 대한 정책 권고조치 또는 환경보호 강화조치를 마련한다. 둘째는 과학기술단계(Scientific and Technical Level)로 지구환경의 동향을 감시하고 환경관련 정보를 수집, 보급한다. 세 번째는 프로그램 단계(Programmatic Level)로 UNEP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각 협약 사무국 및 관련 국제과제들을 조정, 운영한다. 마지막 참여와 이행단계(Participatory and Implementation Level)는 NGO,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환경을 위한 지역 프로그램 구축과 교육을 담당한다. 이러한 운영체제로 인구증가, 도시화, 환경과 자원에 관한 영향분석 및 환경생태에 대해 연례보고서를 작성하며, 5년마다 지구 전체의 환경추세를 알리기 위한 종합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출처 : 월간 국토 2007년 2월호 "용어풀이")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