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개선

주거환경개선 주거환경개선은 불량주택의 정비, 도시 전체의 기능회복, 저소득층의 주 거안정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다. 주거환경개선은 개선이 이루어지는 범 위에 따라 도시전체로부터 지구단위, 개개 주택단위까지 다양한 수준이 있으며 과거 주택의 물리적 개선에 초점이 두어졌던 것에 반해 최근에는 도시재생 차원에서 도시 전체의 환경개선으로 나아가고 있다. 도시적 차원 내지는 단지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지 는 주거환경개선은 지구재개발(redevelopment),1) 지구개선(rehabilitation and impr ovement),2) 지구보전(conservation)3) 등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러한 구분은 1958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된 도시재개발국제회의의 토의 결과에 의한 것이다. 1) 지구재개발(redevelopment) 가장 협의의 주거환경개선 개념으로서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계획적으로 정비하는 도시계획사업을 말한다. 2) 지구개선(rehabilitation) 건물의 신축을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지구를 개선하는 것이다. 3) 지구보전(conservation) 역사적, 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을 보전하는 것과 현재는 바람직하지만 앞으로는 악화될 염려가 있는 건물이나 지역에 대해 적용하는 수법이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