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과 정비신칸센

신칸센(新幹線)은 일본에서 운행중인 고속철도로서, 주요 구간을 시속 200km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간선철도로 정의되어 있다(일본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1970. 5. 13). 신칸센이 개통되던 1964년 이전에 일본에서 이용되던 재래선은 협궤 철로였지만, 신칸센은 1,435mm의 표준궤를 사용하였다. 이에따라 신칸센이 개통되던 시기에는 표준궤도이면서 시속 200km 이상 운행하는 철도가 신칸센으로 정의되었으나, 현재는 궤도에 관계없이 속도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신칸센 개통 후 1969년 8월, 일본 내각은 1985년을 목표로 한 전국 7,200km의 신칸센 철도망 정비구상이 포함된 신(新)전국개발계획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신칸센이 개통된 해부터 일본의 국철은 적자경영을 하게 되어 1968년부터 재정재건계획을 추진하였으며, 산요(山陽) 신칸센 공사가 착수된 후에는 극심한 자금부족을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이 의원입법으로 만들어졌으며, 이 법에서 지정한 신칸센 노선을 정비신칸센이라 하였다. 이전에 만들어진 신칸센이 국비로 만들어진 데 비해, 정비신칸센의 비용은 국가 35%, 지방정부 15%, JR 50% 등의 부담으로 되어 있다. 건설주체는 모두 철도건설공단이다. (출처 : 월간 국토 2004년 2월호 "용어풀이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