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동(mobility)상의 제약을 가지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서 "교통약자", "이동제약자" 등의 용어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교통약자"라 함은 영어의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에 해당하는 용어로, 자동차에 대해 보행자·자전거 이용자, 정상인에 대해 장애인, 젊고 건강한 사람에 대해 고령자·부녀자·어린이 등이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교통약자의 개념을 좀더 넓은 의미로 해석한 것이 "the transportation poor"의 개념이다. 원어의 의미는 원래 미국에서 자동차화의 진전과 함께 공공교통이 쇠퇴하게 되었고, 이런 가운데 공공교통의 이용으로부터도, 자가용차의 이용으로부터도 배제되어 이동성의 확보가 불가능한 사회적 그룹, 특히 저소득층을 일컫는 말이었다. 이것이 점차 신체적, 제도적, 혹은 사회적 이유에 의해 이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 즉 고령자, 신체장애인, 유아, 저소득자, 과소지역 주민 등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의 용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the mobility handicapped"라고 하는 말이 유럽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신체적 이유에 의한 이동제약 그룹을 나타내며, 통상 고령자·장애인만에 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단적으로 "the elderly and disabled" 라고 하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