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QM(Total Quality Management)

TQM은 전사적 품질경영 또는 종합적 품질경영으로 번역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뿐만 아니라 경영과 업무, 직장환경, 조직 구성원의 자질까지도 품질개념에 넣어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QM은 1960년대 이후 크게 발전한 전사적 품질관리(TQC ; Total Quality Control)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TQC의 주방법론이 통계학적인 것이었다면 TQM은 통계학적인 것은 물론 조직적이며 관리론적인 방법론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의 질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는 일본식 품질관리 원리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한것이 TQM이다. TQM은 경영·기술차원에서 실천되던 고객지향 품질관리 활동을 품질관리 책임자뿐만 아니라 마케팅, 엔지니어링, 생산, 노사관계 등 기업의 모든 분야에 확대하여 기업의 조직 및 구성원 모두가 품질관리의 실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TQM은 기본적인 정신이나 사고방식을 소홀히 한 채 단순히 지엽적인 제도나 기법에만 매달려서는 품질경영의 진정한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오로지 품질 위주의 기업 문화를 창조하여 조직 구성원의 의식을 개혁해야만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국내에서도 1992년부터 신산업정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TQM을 강조하여 많은 기업들이 이를 수용하고 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