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백두대간이란 백두산-지리산 잇는 한반도 등뼈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이다. 한반도의 형상은 만주를 앞다리로 할퀴는 호랑이의 모습이고 백두대간은 그 등뼈에 해당된다. 백두산에서 지리산의 천왕봉까지 한 곳도 끊기지 않고 연결돼 있다.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그 모습이 정확하게 담겨있다.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능선을 타고 걸으면 1,625㎞. 남한에서 주파할 수 있는 거리는 690㎞이다. 백두대간은 1900년대 초 일본인 지리학자 고토 분지로에 의해 태백산맥, 소백산맥등 15개의 산맥으로 나뉘어졌다. 당시 수탈을 위한 광물탐사에 혈안이 돼 있던 일본인들은 백두대간을 조각내면서 산맥도에서 백두산을 지우는가 하면, 호랑이의 형상을 토끼의 모습으로 바꿔놓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 산악인 이우형씨가 산악인들을 대상으로 강연회를 열면서 백두대간에 대한 인식이 다시 등장했고, 1988년 한국대학산악연맹이 학술지 엑셀시오에 백두대간 특집을 실으면서 급속하게 번져나갔다. 이후 백두대간 종주 열풍이 불기 시작했고 요즘은 생태, 환경, 지질등 전문분야의 연구를 위한 종주도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백두대간은 그동안 개발의 논리에 밀려 깊은 상처를 입었다. 현재 60개에 가까운 도로가 등줄기를 끊고 지나가고 있고, 수많은 송전탑의 건설 때문에 작은 산들은 아예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출전 : 한국일보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