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CALS

CALS는 1982년 국방예산과 운영유지비 절감을 위해 미국 국방성의 Paperless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1985년 미국 국방성은 ‘컴퓨터 활용 병참지원(Computer-Aided Logistic Support)’이라는 이름으로 설계도면, 기술매뉴얼, 정기점검기록 등 관련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산화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1987년에는 병참지원 시스템에 조달(Aquisition) 업무를 추가하여 ‘컴퓨터에 의한 조달 및 병참지원 시스템(Computer-Aided Aquisition and Support)’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국방 CALS의 효과가 실증됨에 따라 1990년대부터는 일반산업에도 적용되어, 미국 상무성에서도 CALS의 보급에 주력하기 시작하였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CALS의 개념은 1994년에 이루어진 광속의 전자거래(Commerce At Light Speed)를 말하는데, 이러한 CALS 개념의 적용영역은 부품의 보급 및 교환분야, 조달분야, 설계 및 제조분야, 상거래, 물류, 자금결재 분야 등 광범위하다. CALS의 어원이 점차 변해 왔듯이 그 개념 또한 계속 확대되어 왔는데, 적용여건과 사용자의 활용 면에서 차이가 있다. 건설교통부는 건설CALS를, “설계, 계약, 시공, 유지관리 등 건설생산활동 전과정의 정보를 발주자, 건설관련자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 및 공유하여 건설사업을 지원하는 통합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건설CALS는 건설프로젝트의 전과정을 수행하면서, 발생되는 정보와 업무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시너지효과를 얻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품질, 비용, 공기를 만족하는 시설물을 완성해 나가는 공동의 통합된 전략이다. 건설CALS의 적용분야 프로젝트의 단계별로 건설CALS 적용이 가능한 대상분야를 보면, 설계·적산분야에서는 3차원의 CAD에 의한 통합설계시스템과 적산자동화, 발주·계약분야의 전자입찰·계약 및 프로젝트 DB의 구축, 조달분야에서의 건설자재 전자조달, 공사관리 분야의 시공 DATA 실시간 제공, 시설유지관리를 위한 전자매뉴얼, 민원사무에서의 인허가 시스템 등 대부분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