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 근린재생형 사업추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저자박정은 도시재생연구센터장
  • 게시일2021-04-29
  • 조회수480
DE73B4E5D9A148CE842FE61D5715746C.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부산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활성화사업 성과관리방안 연구 I/II(2016/2018)
    • 도심 내외부 관리실태 분석 및 통합적 관리방안 연구(지방 중소도시 대상)(2016)
    • 도시 거주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실증연구(한국형 경제기반 도시재생 추진전략 개발(2015~2016)
    • 도심의 기존 기능과 연계한 점진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지방 중소도시 대상)(2015)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2014년부터 시작된 도시재생사업은 현재 전국 약 500여 곳에서 추진 중이다. 대도시 중심으로 시작되었던 재생사업은 빠르게 지방도시로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방 중소도시 재생은 이렇다 할 전략모델과 추진방향이 부재하다. 박정은 연구위원은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 연구를 통해 인구유출 문제가 심각한 지방 중소도시가 추구해야 하는 재생사업의 방향과 사업방식 등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박정은:
이 연구는 전국의 도시재생사업이 획일화되어 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구조, 산업구조, 도시규모 등이 대도시와는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사업내용과 사업방식으로 추진되고 있고, 따라서 사업 성과와 효과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은 어떻게 달라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박정은:
재생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맞는 사업이 발굴되어야 하고 지역여건을 고려한 사업방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지방 중소도시가 가지는 산업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 추진모델 발굴과 적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산업적 측면의 고려는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 근린재생형 사업추진을 하고자 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거듭 강조하였다. 산업 활성화와 재생 정책이 연계되어야 지방 중소도시가 직면한 인구유출 문제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박정은:
현장 중심으로 연구를 추진하면서 많은 분들을 만났다. 연구제목을 말씀드리며 회의를 시작할 때마다 모두 걱정을 하셨다. ‘재생모델’이 주는 어감 때문이었다.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획일화된 재생모델을 마련하는 데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컸다. 사업내용 중심의 재생모델이 아니라 사업추진 프로세스에 기반한 재생모델임을 한참을 설명 드리고 나서야 본론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거치며 연구진은 처음에 없던 부제를 달기로 결정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박정은:
4개 사례도시를 대상으로 심층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담인력, 도시재생지원센터, 지역 전문가분들을 만나고 인터뷰하는 과정이 가장 기억에 남고 현장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라는 상황 때문에 비대면 방식으로 추진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무척 아쉬웠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박정은: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2015년부터 해오고 있다. 해마다 연구를 수행하며 필요한 부분을 조금씩 구체화하며 후속과제를 발굴해 나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 향후에는 산업도시·농촌도시 등 지방 중소도시 특성별로 특화된 실질적인 재생모델과 사업방식을 더욱 구체화해 나가고 싶다. 현장과 맞닿아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제안을 하고 싶다.


박정은 연구위원은 2014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도시재생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도시관리 등이다.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pdf (0Byte / 다운로드:131)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