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식산업센터 현황과 정책과제: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 저자유현아 부연구위원
  • 게시일2022-12-09
  • 조회수3053
thumb_20221216134838810.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비대면(Untact) 시대의 대도시 이슈 탐색(2020)
    • 우리나라 5대 대도시권 성장단계와 공간적 분화에 관한 연구(2020)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지식산업센터는 지속적으로 전국에 걸쳐 공급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관리방안이 부재한 실정임에 따라 지식산업센터 관련 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유현아 부연구위원이 수행한 「지식산업센터 현황과 정책과제 연구」는 국내 지식산업센터의 입지정책 방향과 현황분석을 통해 제도적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향후 지식산업센터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유현아:
 지식산업센터의 전신은 약 40년 전 도시형 제조기업의 입지 확보를 위해 등장한 아파트형공장이다. 1980년대 도시지역에 입주가 불가피하거나 무등록 또는 흩어져 있는 공장들을 양성화 및 집단화하는 형태로 시작하였다. 이후 2010년 산업 집적 활성화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아파트형공장이 지식산업센터로 변경되며 지식산업센터라는 지금의 명칭이 등장하였다. 즉 지식산업센터는 대도시에 잔류해야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시 제조업의 입지를 지원하기 위해 탄생하여 현재는 제조업 외 정보통신 등 지식기반산업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도시의 혁신을 창출하는 거점시설로 변모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지금의 지식산업센터 입지정책 방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고, 현재의 지식산업센터 분포 및 이용행태에 관한 분석을 통해 필요한 제도적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유현아: 본 연구는 의미는 크게 2가지 측면이 있다. 첫째, 1980년대 지식산업센터 전신인 아파트형공장이 등장하면서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입지 정책 방향과 함께 관련 법제도 변화 등을 정리함으로써 현재의 지식산업센터가 등장하기까지의 역사를 알 수 있다. 둘째,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식산업센터를 구분하여 분포 현황과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입지하는 지식산업센터의 특징을 비교함과 동시에 차별적 관리와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유현아: 서울시에서 지식산업센터가 집중되어 있는 대표적 지역 중 하나는 성동구에 위치한 성수동 일대이다. 성수동 일대 지식산업센터 현장답사를 갔었을 때이다. 외관상으로는 대형 업무시설과 구분이 되지 않는 지식산업센터 빌딩 사이를 한참 걸었던 생각이 난다. 그러면서 성수역 주변에 수제화 산업 집적 지역과 청년 창업가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혁신 창업․창작 플랫폼인 언더스탠드 에비뉴 등의 공간도 만나 볼 수 있었다. 지식산업센터 빌딩 숲 사이사이에 입지해 있는 이와 같은 구 생산 공간들이 같은 공간을 공유하면서, 네트워킹된다면 새로운 지식산업센터의 발전 모델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현장에서 할 수 있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유현아: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체, 업무 관련 공무원, 관련 연구 수행자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었던 점이 보람으로 느껴진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가졌던 문제의식 들을 함께 공유하고, 몰랐던 사항 등도 알게 되면서 연구 내용을 보완해 나갈 수 있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유현아: 연구를 진행하면서 향후 더 하고 싶었던 연구는 지식산업센터가 지역에서 어떻게 네트워킹되고 있는가이다. 일부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지식산업센터의 거래처 분포를 분석하긴 하였지만, 향후 지식산업센터가 기업에게 단순한 공간만을 제공해 주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클러스터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지식산업센터가 밀집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산업 간의 연관효과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 싶다. 


유현아 부연구위원은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지리, 지역계획 및 정책, 수도권 등이다.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지식산업센터 현황과 정책과제_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Knowledge Industry Center in Korea_ Facts and Policy Issues).pdf (9.29MB / 다운로드:754)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