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21230105538227.JPG

시군구별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와 시사점 (2000~2021년)

  • 저자 이영민 
  • 권호71호
  • 발행일2022-12-29
  • 조회수3503

 국토이슈리포트 (2022.12.29)

시군구별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와 시사점 (2000~2021년)



이영민 부연구위원



|요약|

 ■ 연구 배경과 목적
     ◦ 한국은 2025년이 되면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역별 노인인구 변화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 지역별 노인인구 현황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노인인구비율, 노령화지수, 지방소멸위험지수 등과 같이 두 수의 비를 이용한 지표를 활용하고 있는데, 비율로 계산된 값에만 집중하면 해당 값의 변화 원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움
     ◦ 이 리포트는 노인인구비율 산식의 노인인구수(분자)와 총인구수(분모)를 고려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지역별 인구 변화 패턴을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파악하고자 함

■ 시군구별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 유형 분류 및 특성
     ◦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2000~2021년의 노인인구 및 총인구 변화 패턴을 분석
     ◦ 2000년 대비 2021년의 노인인구 변화율(노)과 총인구 변화율(총)을 종합하여 시군구의 인구 변화 유형을 9개(노+++총+, 노+++총-, 노+++총--, 노++총+, 노++총-, 노++총--, 노+총+, 노+총-, 노+총--)로 분류
     ◦ 노인인구 변화율 및 총인구 변화율 상하위 10개 시군구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인구 증가 속도가 빠르고 총인구가 증가하는 지역과 노인인구 증가 속도가 느리고 총인구는 감소하는 지역으로 나뉨
     ◦ 총인구 대비 노인인구 증가 속도가 빠른 상하위 10개 시군구를 분석한 결과, 상위 25%에 해당하는 지역들은 대부분 서울과 광역시와 같은 대도시권에 위치

 ■ 결론과 시사점
     ◦ 노인인구수(분자)와 총인구수(분모)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결과, 인구 변화 패턴을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파악 가능
     ◦ 노인인구 증가의 심각성은 일부 농산어촌지역이나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도시권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 대도시권 지역에서도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때 대도시권은 사회기반시설이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지방 중소도시 및 군지역의 노인 정책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이슈리포트 71호.pdf (3.98MB / 다운로드:1,864)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홍보팀
  • 성명 한여정
  • 연락처 044-960-0439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