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과 향후 정책방향”

  • 작성일2025-05-20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688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과 향후 정책방향"


국토, 국토정책Brief 제1013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 박진백 부연구위원과 연구진은 국토정책 Brief 제1013호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과 향후 정책방향”을 통해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변동성 발생구조를 검토하고, 변동성 확대 원인과 변동성 결정 요인, 변동성확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고, 변동성 완화를 위한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OECD 국가 및 국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주택시장 변동성 결정 요인을 분석

◦ (OECD 국가) 금리, 대도시화율이 주요 요인이며, ’10년 이후 금리 1%p 인하는 주택가격을 4.5% 상승, 대도시화율 1%p 증가는 주택가격을 10.3% 상승시키는 것으로 분석

◦ (국내) 전세가격, 갭투자, 금리, 주택담보대출이 주요 요인이며, 전세가격 1% 상승은 매매가격 0.655% 상승, 갭투자 1% 증가는 매매가격 0.148% 상승에 영향, 금리 인하는 수도권이 지방에 비해 5배의 영향을 받으며, 주택담보대출은 수도권에 영향이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



□ 박진백 부연구위원과 연구진은 주택시장 변동성 완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모기지 대출구조 개선 및 유동성 관리)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모기지 운용, 공급 시기·지역·대상 기준 설정, 유한책임대출 도입, 금리·경기 사이클에 따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도 유연화

◦ (전세자금대출 제도 개선) 일반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DSR 적용 및 저소득층 대상 예외 적용, 전세금 과대 책정 및 정보 비대칭 해소를 위한 전세가격 적정성 평가시스템 도입

◦ (시장의 경기 대응력 제고) CPI(소비자물가지수)에 주택매매가격 반영, 공급구조 안정화를 위한 프로젝트 리츠 확대, 지분투자자 육성을 위한 세제 지원, 민간자본 유입 확대 등 PF 구조 개선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과 향후 정책방향(국토연구원).hwp (233.5KB / 다운로드 119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보도자료)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과 향후 정책방향(국토연구원).pdf (319.96KB / 다운로드 168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국토정책Brief 1013호.pdf (319.96KB / 다운로드 314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