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민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민원지도의 민생현안 모니터링 방안
- 작성일2024-12-03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1,512
"A.I.와 민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민원지도의 민생현안 모니터링 방안"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992호
□ 민원불편신고 등 각종 민감정보가 취합되고 기록되는 국민신문고 민원 빅데이터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민원인의 다양한 관심사와 세부적인 내용이 담긴 데이터로, 민생현안 모니터링 도구로 그 효용가치가 높음
◦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운영 중인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의 민원지도는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사용자 접근성과 활용성 등의 한계로 민원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스마트인프라연구센터 장요한 부연구위원과 연구진은 국토정책 Brief 제992호“A.I.와 민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민원지도의 민생현안 모니터링 방안”을 발간하였다.
□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약 2,600만 건의 민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종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민생현안 모니터링 시범분석 및 정책수요 발굴 시범분석
◦ 딥러닝 등 A.I. 방법론을 활용한 시범분석을 통해 언제-어디에서-얼마나-어떻게 민원이 발생할지에 대한 예측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선제적 정책지원 도구의 발전방향을 제시
□ 장요한 부구위원과 연구진은 민생현안 모니터링 도구의 민원지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민원데이터 공개 확대 및 체감형 분석방법론 개발: 지자체 및 부처 협의를 통해 민원 빅데이터 공개를 확대하고, 시민 주도 자정환경 및 정책소통 기반 마련 필요
◦ A.I. 기술을 응용한 방법론 고도화로 정보의 효용성 제고: 민원지도 정보의 편향성을 방지하기 위해, A.I.와 이종데이터 융합을 통한 지역맞춤형 이슈 키워드 발굴 및 방법론 고도화
◦ 공간정보 기반 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민원지도 효용성 및 정보 공개 확대: 공공관심 민원분야에서는 격자 기반 공간 단위 일원화와 비식별화로 통계생산과 정보 공개 확대 및 활용도 제고
◦ 국민참여형 정책소통 도구 발전: 민원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개발을 통해 악성 반복 민원에 대한 자동정제 기능을 구축하고, 정보 왜곡 최소화 및 행정인력의 효율적 활용과 시스템 고도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