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

  • 작성일2024-11-13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1,981

"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


국토, 국토정책Brief 989



□ 국가적인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지만, 그 속도와 수위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평균적인 출산경향을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서울이 가장 낮지만, 지방에서도 일자리 여건이 위태로운 주요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합계출산율이 서울보다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 지역 여건에 따라 상이한 맥락을 지닌 주거불안정의 문제는 청년가구가 결혼·출산을 준비하고 인생계획을 수립하는 데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저출산 현상을 심화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산업입지연구센터 조성철 연구위원과 연구진은  국토정책 Brief 제989호“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를 통해 국토 불균형에 다른 고용과 주거의 불안정이 저출산 현상의 원인이라는 가설을 수립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진행 했다.


□ 분석결과, 지역별 합계출산율의 영향요인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다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 수도권에서는 지역별 주거불안정 요소(아파트 매매·전세가 증가율 등)가 합계출산율 및 조출생률에 강한 영향을  보인 반면, 고용불안정 요소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음

◦ 비수도권에서는 출산율에 대한 주거불안정의 효과가 강하지 않았던 대신, 고용증가율 등 지역경제의 장기적인 일자리 전망이나 고용안정성의 문제가 출산율을 악화시키는 요소로 작용



□ 조성철 연구위원과 연구진은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지방에서도 서울 이상의 가파른 속도로 합계출산율이 하락하는 지역들이 존재하며, 이들 지역이 공유하는 특징은 고용 및 산업기반의 급격한 악화에 있다는 점에 주목

◦ 지방에서의 저출산 대책은 청년들에게 안정성과 잠재력을 가진 일자리를 제공하는 균형발전정책과 함께 추진되어야 하며, 동시에 여성일자리 및 정주 기반에 대한 고려도 필요

◦ 청년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양육친화적인 주거환경 조성 및 주거지원정책 대상의 범위 확대가 필요하며, 출산 이후 양육과정 전반을 포괄하는 저출산 대책 마련이 시급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정책Brief 989호.pdf (804.66KB / 다운로드 809회) 다운로드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국토연구원).hwp (227KB / 다운로드 285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보도자료)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국토연구원).pdf (88.04KB / 다운로드 327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