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홈
- 발간물
- 연구보고서
국토분야 정보의 공유를 위해 연구보고서 원문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록]
1. 도시권은 도시체계에서 도시들 간의 관계가 형성되는 공간 범위로서 기능지역에 해당되고, 도시들 간 관계는 영향력을 가하는 ‘중심지’와 영향력을 받는 ‘주변 배후지’ 간의 ‘계층관계’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를 구성할 정도의 강하고 집중적인 ‘기능 연계’도 포괄함
- 계층 관계와 기능 연계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도시권을 각각 ‘도시의 영향권’(결절지역)과 ‘도시 간 기능 연계권’(네트워크에 근거하는 기능지역)으로 세분 가능함
2. 기존 도시권 획정과 달리, 이상과 같은 도시체계 관점을 견지하면서, 출근, 쇼핑, 여가 목적 통행을 대상으로 도시권 분석·획정을 수행하였고, 분석·획정 결과 중 특징적인 사항도 고찰함
- ‘서울’과 비수도권 4대 도시 등이 최상위 중심도시로서 (초)광역적으로 영향권을 형성하였고, 그 외 시·군들 중 일부는 해당 권역에 주변 배후지로 포섭된 상태에서 별도의 영향권을 형성하였으며, 그러한 시·군들 간에 영향권에의 상호포섭 또는 영향권 중첩도 일어남
- 분석 대상 목적통행별로, 전국 도시체계에서 차지하는 중심성은 낮지만, 주변 시·군(들)에 영향력을 강하게 가하면서 그 영향권 범위도 확대해온 비수도권 소재 시·군들이 존재함
- 기능 연계권 분리·통합은 권역 구성 시·군들 간 영향권에의 상호포섭과 관련되었을 수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개념적 논의와 기존 도시권 획정 고찰
제3장 도시권 분석·획정의 방향
제4장 도시권 분석·획정 결과와 시각화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 계층 관계와 기능 연계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도시권을 각각 ‘도시의 영향권’(결절지역)과 ‘도시 간 기능 연계권’(네트워크에 근거하는 기능지역)으로 세분 가능함
2. 기존 도시권 획정과 달리, 이상과 같은 도시체계 관점을 견지하면서, 출근, 쇼핑, 여가 목적 통행을 대상으로 도시권 분석·획정을 수행하였고, 분석·획정 결과 중 특징적인 사항도 고찰함
- ‘서울’과 비수도권 4대 도시 등이 최상위 중심도시로서 (초)광역적으로 영향권을 형성하였고, 그 외 시·군들 중 일부는 해당 권역에 주변 배후지로 포섭된 상태에서 별도의 영향권을 형성하였으며, 그러한 시·군들 간에 영향권에의 상호포섭 또는 영향권 중첩도 일어남
- 분석 대상 목적통행별로, 전국 도시체계에서 차지하는 중심성은 낮지만, 주변 시·군(들)에 영향력을 강하게 가하면서 그 영향권 범위도 확대해온 비수도권 소재 시·군들이 존재함
- 기능 연계권 분리·통합은 권역 구성 시·군들 간 영향권에의 상호포섭과 관련되었을 수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개념적 논의와 기존 도시권 획정 고찰
제3장 도시권 분석·획정의 방향
제4장 도시권 분석·획정 결과와 시각화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