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20822202024365.jpg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 (2) - 2030세대의 소득·소비·부채 변화


 국토이슈리포트 (2020.12.29)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 (2)

- 2030세대의 소득·소비·부채 변화 -





허다혜 국토데이터랩 인턴, 배서광 국토데이터랩 인턴, 장요한 국토데이터랩 팀장, 박서현 국토데이터랩 연구원



|요약|

■ 코로나19의 확산과 경제지원정책, 그리고 한국의 2030세대


     코로나19의 확산은 국내·외 산업활동 등에 다양한 악영향을 초래, 장기화로 인한 산업활동 정체와 위축된 소비 현상은 지역경제 침체를 가속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청년층의 고용률 하락으로 고용시장의 회복 지연이 발생했고,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2020년 5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 2020년 1분기와 2분기를 코로나19 대확산기와 경제회복 촉진기로 구분하고 65세 미만의 ‘전체 경제활동인구’와 ‘2030세대’의 소득, 소비, 부채를 지역별로 비교


  ■ 2030세대의 높은 소비와 부채


     코로나19 대확산기(2020년 1분기)에서 경제회복 촉진기(2020년 2분기)로 변화하는 동안,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소득, 소비 및 부채는 각각 2.9%, 9.3%, 1.2%가량 상승한 데 반해, ‘2030세대’는 각각 4.0%, 10.6%, 5.9%가 상승

    ◦ 경제활동인구 전반에서 정부 재난지원정책의 긍정적인 효과가 짐작되는 한편, ‘2030세대’의 부채는 여전히 높음


  ■ 코로나19 초기 확산지역을 중심으로 ‘2030세대’의 부담이 증가

      2019년 대비 2020년 대확산기에는 코로나19 초기 대유행 지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소비가 위축되었지만, ‘2030세대’의 소비활동은 크게 위축되지 않음

     ◦ 코로나19 초기 확산지역을 중심으로 ‘2030세대’에서 나타난 여전히 높은 신용대출은 위축된 소비와 맞물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상당했을 것으로 판단됨

     ◦ 코로나19 이후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아파트 가격의 영향도 ‘2030세대’의 부채 상승에 주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


  ■ 시사점


     경제회복 촉진정책을 통해 시군구 전반에서 소득과 소비의 회복이 확인됐지만, ‘2030세대’의 경우, 지역별 비율이 상이하여 어느 정도 소득과 회복으로 직결되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

    ◦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지역경제 모니터링체계 구축이 필요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이슈리포트 30호.pdf (0Byte / 다운로드:183)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홍보팀
  • 성명 한여정
  • 연락처 044-960-0439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