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 홈
- 이슈&뉴스
- 국토이슈리포트
국토이슈리포트는 국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시의성 있는 정책 현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소통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제목 | 주택가격 변동 영향요인과 기여도 분석 | ||
---|---|---|---|
등록일 | 2021-12-24 | 조회수 | 11403 |
첨부파일 |
국토이슈리포트 (2021
주택가격 변동 영향요인과 기여도 분석 |
이태리 연구위원, 박진백 부연구위원, 오민준 전문연구원
|요약| |
■ 주택가격 변동성 확대 ◦ (주택가격 상승과 주택시장 변동성(위험) 확대) 2019년 하반기 이후 2021년 상반기까지 주택거래량이 증가하고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등 주택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며 변동성(위험) 확대 ◦ (해외 주요국의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 원인) 저금리 기조, 유동성 증가, 주택공급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세계 주요국, 주요도시의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낮은 금리와 유동성 증가는 공통적인 주요 원인임 ◦ (대응방안)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 상황에서 주택가격 상승 원인을 검토하고, 각 원인이 가격 상승에 미친 영향 정도(기여도)를 추정하여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할 필요 ■ 주택가격 상승 원인과 원인별 기여도 ◦ (주택가격 상승 원인)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금리, 실물경기, 주택공급, 가구 수 등 다양한 주택가격 영향 요인을 언급했으며, 우리나라도 저금리 기조, 실물경기 저조, 주택공급 감소, 세대 수 증가 등을 주택가격 상승 원인으로 주목할 수 있음 ◦ (주택가격 상승 원인별 기여도) 원인 분석 결과, 금융시장이 저금리 체계로 구조전환된 2019년 7월 이후, 금리 요인의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약 4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주택가격 상승기의 주택가격 안정화 정책 방향 ◦ 금리 변화 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물가지수에 주택매매가격정보 포함 검토 ◦ 소비자물가지수에 자가주거비를 포함하여 중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조지표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 |
이전글 | 영국의 국유재산 관리체계 변화과정: 패러다임 전환과 국유재산 관리기구·사업의 변천 |
---|---|
다음글 | 지자체 및 공간 단위 온실가스 감축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