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대도시권 관리에 관한 국제협력방안 연구: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 저자안예현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9-10-02
  • 조회수434
8CC3DA3B10ED4C3DB17C986C4B0CFAD2.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국토·도시 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 대도시권 관리에 관한 국제협력방안 연구 –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전 세계적인 도시화에 따라 개도국 대도시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양한 도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개도국은 우리나라에 대도시권 관리에 관한 경험 공유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안예현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대도시권 관리에 관한 국제협력방안 연구: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는 개도국의 대도시권 관리 현황과 이슈를 파악하고, 국내 대도시권 관리 경험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해 개도국 대도시권 관리 수요에 대응하는 국제협력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안예현: 도시인구는 1960년 세계인구의 33%에서 2016년 54.3%로 증가했다.  2100년에는 85%인 9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6년 기준 인구 1 천만 명 이상의 31개 메가시티(Mega City) 중 24개가 개도국에 위치하고 있다.  개도국에게 있어서 대도시권의 증가는 중요하게 다뤄야 할 현상인 것이다. 반면 급속한 도시화를 겪는 개도국 대도시권은 개발압력으로 인한 도시 외곽의 난개발, 기초 인프라 부족, 교통 혼잡, 환경오염 등 각 부문에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도국 대도시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맞춤형 협력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안예현우리나라는 1960~1980년대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개발제한구역 지정, 「수도권정비계획법」 제정 등 다양한 대도시권 관리 정책수단을 도입했고, 수도권 매립지 조성, 광역교통계획 수립 등 부문별 관리 이슈에 대해서도 광역차원의 대응 경험을 축적했다. 또한 도입된 대도시권 관리 정책수단의 긍정적 효과 외에도 개도국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부작용도 경험하였습니다. 그러나 풍부한 대도시권 관리 경험에 비해 개도국을 위한 체계적 국제협력 콘텐츠발굴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는 대규모 개발경험 기반 협력사업에 치중된 국제협력에서 계획적 개발과 관리를 아우르는 통합적 국제협력으로의 전환을 논의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안예현: 본 연구는 각 사례 개도국 대도시권의 현지 전문가들과 협업을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시차와 현지 휴일로 인해 밤낮과 주말 상관없이 화상회의와 전문가 인터뷰를 잡아야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 및 실무자 설문조사 수행 중 협업을 약속했던 현지 전문가들이 연락이 두절되어서 조사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촉박한 기간 내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전문가를 섭외하는 일이 매우 어려웠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안예현국내외에서 대도시권 관리는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나, 국제협력 분야에서는 기존 연구 대부분이 도시개발 및 해외진출방안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어 국제협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도시권 관리의 개념이 불명확하였습니다. 다른 개념과의 차이를 명확히 하여, 대도시권 관리에 대한 합의될 수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시한 국내외 문헌에서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 대도시권 관리에 대한 분석틀 구축을 시도하였으나, 이론적 논의를 충분히 하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안예현본 연구에서 UN 통계, WDI 및 기타 자료를 활용하여 개도국 대도시권에 대한 현황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대도시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권역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는 수집이 불가능하였습니다. 대도시권 차원의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대도시권과 관련된 다양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 대도시권 정책의 효과를 검증해보고 싶습니다.  


안예현 책임연구원은 2015년 미국 버지니아공대에서 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으로 도시계획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글로벌개발협력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조지아공대 공공정책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개발협력, 도시정책, 지속가능개발, 공공관리 등이다.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대도시권 관리에 관한 국제협력방안 연구_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pdf (0Byte / 다운로드:193)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