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Flow)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 저자황명화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7-08-07
  • 조회수399
7E5142260632482E9D3BF106FA913D76.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Flow)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2016)
    • 정책지도 활용성 제고를 위한 지오인포그래픽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2015)
    • 여론모니터링을 위한 비정형빅데이터 시공간분석 방법론 연구(2014)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감 높은 지역경제 정책에 대한 수요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지역경제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공간의 실상과 변화를 시의성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자원의 발굴과 활용이 필요하다. 황명화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Flow)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는 지역 간 사람, 사물, 자금 등의 흐름에 관한 플로우 빅데이터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황명화: 지역경제가 국토정책의 중요한 화두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정책 수립 시 활용하는 관련 정보는 행정구역 통계로 국한되는 현실을 자주 목격하였습니다. 반면 최근 해외 선진국에서는 모바일 통신, 신용카드 거래 등의 새로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경제에 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빅데이터를, 어떻게 지역경제 정책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지 그 현실을 짚어보고 향후 추진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황명화: 지역경제 정책분석에 활용한 기존의 데이터는 주로 정기, 부정기 조사를 토대로 한 행정구역 기반 총괄 통계였습니다. 기존 데이터는 공인된 양질의 데이터라는 장점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지역 간 생산, 소비, 산업, 인적 연계와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모바일 유동인구, 신용거래 기반 자금흐름, 기업 간 거래 등 새로운 데이터 자원을 이용하여 기존 정책분석의 한계를 일부 극복하고 지역경제 정책에 활용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이 연구의 의미가 있습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황명화: 지역경제와 관련된 자금흐름을 보여주는 데이터가 희소하여 연구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구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여러 차례의 문헌조사를 거치고 민간 빅데이터 전문가를 다단계로 추적하여,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 기관을 파악하였습니다. 이후에도 예산문제로 민간기관과 이런 저런 논의가 많았고, 다른 학계 전문가에게 협업연구를 제안하는 등의 모험을 거쳤던 점이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황명화: 보람보다는 아쉬움이 큽니다. 먼저, 시범활용에 있어 최근 정책실무자가 바로 정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정책적 활용가능성 확인 수준에 머물렀다는 점입니다. 다음으로, 플로우 빅데이터의 새로운 시각화 방법에 대해서도 일부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보고서에 담아낼 수 있을 정도로 발전시키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황명화: 지역 간 사람, 사물, 자금, 지식 등이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지에 관한 데이터가 국내에 매우 부족함을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플로우 빅데이터를 더 많이 발굴하여, 이 원천자원에서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데이터를 재생산하고 분석·시각화하여 다양한 정책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일련의 연구들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황명화 책임연구원은 2013년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연구프로그래머 및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공간빅데이터, 공간통계, 웹GIS, 지도학 및 시각화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Flow)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2016), 정책지도 활용성 제고를 위한 지오인포그래픽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2015), 여론모니터링을 위한 비정형빅데이터 시공간분석 방법론 연구(2014) 등이다.




첨부파일